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돈의 인문학>으로 배우는 한일 경제와 뉴노멀 시대 돈의 흐름

by 르네샤 2023. 3. 26.
반응형

책 <돈의 인문학>에서는 KOTRA에서 32년간 근무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전 세계의 경제 기조와 정책을 분석하여 뉴노멀 시대의 돈의 흐름과 투자 전략을 제시한다. 또, 한국과 일본의 경제위기는 다르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사람들이 우려하는 것처럼 잃어버린 30년을 겪지 않을 것이며 인문학적 통찰력을 길러 이성적인 투자를 할 것을 권한다.

 

 

경제 인문학을 통해 배우는 새로운 시대의 투자 전략

 

돈을 벌고 싶으면 경제 돌아가는 원리부터 알아야 한다. 이 책의 저자 홍익희 씨는 40년 이상 경제 현장을 경험한 경제 인문학 전문가로 경제와 정치 이론, 실전 투자가의 시선을 종합하여 경제 현상을 분석한다. 지난 몇 년 간 이어진 사상 초유의 사태들로 인해 현재 경제 시장은 전문가도 예측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지금껏 없던 저금리, 저투자, 저성장, 저물가 상황을 겪더니 유동성, 재정 적자, 최대 부채가 뒤이어 휘몰아치고 급작스러운 고물가 고금리 현상에 전 세계가 진통을 겪고 있다. 세계 최부강국인 미국의 정책에 따라 EU, 일본, 중국은 물론 우리나라도 이리저리 흔들리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 경제는 침체를 전망하고 있을 만큼 좋지 않은 상황인데 인구절벽과 겹치고 인공지능 등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일자리를 위협하며 복합적인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저자는 KOTRA에서 근무하며 32년 동안 상파울루, 뉴욕, 마드리드, 멕시코, 밀라노 등 해외각국의 무역을 두루 담당하였다. 그 과정에서 유대인의 경제사를 눈여겨보게 되어 <세 종교 이야기>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으며 환율, 월가, 달러에 관한 책을 여러 권 저술하였다. 그는 해외 경제 정책을 통해 향후 경기를 예측하고 역사적인 자료와 비교하여 금의 가치를 예측하기도 하며 뉴노멀 시대에는 어떤 투자 전략이 현명한 선택이 될 것인지를 설명한다. 우리 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경제 현상이 과거 역사 속에서는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앞으로 글로벌 경제 기조나 정책을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지 궁금하다면 일독을 권한다.

 

 

한국 경제와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은 시작점부터 다르다

 

경제 성장률이 점점 낮아지고 물가가 오르지 않는 탓인지 한국의 미래가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이 될 것이라며 걱정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한국과 일본의 경제위기는 그 근본적인 시작점이 다르기 때문에 한국이 일본을 따라가지는 않을 것이다. 현재 한국이 부진한 성장률을 보이는 이유는 글로벌 무역경기가 침체된 탓에 수출이 줄어든 것과 수요부진을 꼽을 수 있다. 지금 전세계는 생산성이 향상되어 초과공급에 시달리는 반면 양극화로 수요가 부족하여 불황이 계속되고 있다. 유동성의 증가로 자산 가격은 상승했지만 서민들은 수중에 현금이 많지 않으니 물가가 오르지 않았던 것이다. 또, 다른 선진국에 비해 한국의 성장률 전망은 좋은 편이다. 한편, 일본 경제가 호황기에 접어들자 일본은 큰 규모로 돈놀이를 하였으며 미국과 중국으로부터 환율 공격을 당했다. 여기에 내수경기를 부양하려고 부동산담보대출을 120%까지 높이면서 거품이 끼게 된 것이다. 결정타로 버블이 정점에 이르렀을 때 바젤 회의로 지급준비율에 압박을 받고, 미국에서 일본의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주가지수 풋워런트를 투자자들에게 판매하면서 일본증시가 무너졌다. 반면 우리나라는 맨손으로 출발하여 세계 무역 수출액 순위 6위를 달성할 만큼 수출 강국이 된 탓에 세계 경제 성장이 침체되면서 둔화된 것으로 같은 저성장으로 보이더라도 근본적인 이유가 다른 것이다. 경제에는 심리도 중요하므로 그동안 위기를 잘 헤쳐오고 단시간에 우뚝 선 대한민국이라면 지금의 위기도 잘 이겨낼 수 있을 것이다.

 

 

인플레이션이 멈추지 않는 뉴노멀 시대에 예측하는 돈의 흐름

 

디플레이션을 걱정하던 처지에서 단숨에 인플레이션을 잡지 못해 연준의 고금리 빅스텝이 이어지는 형국으로 전환되었다. 미국이 아닌 국가에서는 환율 격차를 걱정하며 금리를 올려야 할지 침체되는 자국의 경기 부양을 우선해야할지 어지러운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세계 최대 규모의 헤지펀드를 운용하는 레이 달리오는 인플레이션으로 달러를 비롯한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상황에서는 현금이 아닌 채권과 금, 원자재에 나누어 투자하라고 권한다. 저금리, 저투자, 저성장, 저물가 기조가 이어지면 투자와 소비가 살아날 수가 없는데 사회를 지탱하는 중산층이 붕괴되면 건전한 자본주의를 지탱하기 어렵다. 상위 10%의 소득이 전체 소득의 50%를 차지하면 대공황이나 글로벌 금융위기처럼 큰 위기 상황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은 소득불평등을 심화하고 유동성을 급격하게 증가시켜 혼란을 일으키며 부의 편중을 가속화한다. 그러나 코로나 직후에 경제가 무너지면서 이러한 기조에 변화가 생겼는데 세계 각국이 유동성을 대폭 증가시켰고 그 반동으로 현재 인플레이션이 고공 행진하게 되었다.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연준의 발표를 지켜보며 안전자산인 금과 은에 관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코로나 이후 초보자들이 주식 시장에 대거 몰려들면서 선진국에 비해 자산 구성이 유독 부동산에 편중되어 있던 우리나라에도 변화가 생겼다. 그러나 높은 수익률에 매몰되어 단타 매매에만 집중하는 투자는 위험이 따른다. 런던정경대학의 칼 포퍼 교수에 따르면 인간은 세상을 인지할 때 왜곡된 시각을 가지므로 미래에 대한 예측이나 판단이 틀릴 수 있음을 항상 인정하고 시장 참여자들의 기대가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생각으로 투자에 임해야 한다고 한다. 저자는 인문학적 통찰력을 길러 보이지 않는 것의 중요성을 깨달아야 이성적인 투자를 할 수 있다고 말한다.

 

반응형

댓글